노트북 vs 데스크탑 메모리 (SO-DIMM, DIMM, 호환성)
RAM은 컴퓨터의 성능에 있어 핵심 부품 중 하나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노트북과 데스크톱은 외형적으로만 다른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메모리 규격에서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대표적으로 데스크톱은 DIMM, 노트북은 SO-DIMM을 사용하며, 크기와 핀 수, 전력 소비, 호환성 면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노트북과 데스크톱 메모리의 구조적 차이와 호환성, 업그레이드 시 고려사항을 상세히 정리합니다.DIMM vs SO-DIMM: 구조와 크기의 차이데스크톱용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DIMM(Dual Inline Memory Module)이라는 규격을 사용합니다. DIMM은 크기가 크고, 쿨링 설계가 용이하며, 고 클럭 및 고용량 구성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DDR4, DDR5..
2025. 5. 13.
램과 vs 캐시 차이 (속도, 구조, 용도)
컴퓨터의 성능을 결정짓는 데 있어 CPU, 메모리, 저장장치의 조합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램(RAM)과 캐시(Cache)는 모두 임시 저장소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역할, 속도, 구조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가집니다. 특히 시스템 성능의 병목을 줄이기 위해서는 각 메모리 구조의 특성과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램과 캐시의 개념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하기 위해 속도, 구조, 용도 측면에서 차이점을 상세히 분석합니다.속도: 캐시가 램보다 수십 배 빠르다램과 캐시 메모리는 모두 휘발성 메모리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처리 속도에서는 엄청난 차이가 존재합니다. 램은 일반적으로 DDR(Double Data Rate) 방식의 DRAM(Dynamic RAM)을 사용하며, 클럭 속..
2025. 5. 12.
메모리 동작 원리 분석 (버스, 클럭, 대역폭)
RAM은 단순히 ‘용량’만으로 평가할 수 없는 복잡한 구조와 동작 방식을 지닌 컴퓨터의 핵심 부품입니다. 메모리가 실제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고, CPU와 어떻게 통신하며, 속도에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면 더 나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메모리의 동작 원리를 버스, 클럭, 대역폭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분석합니다.버스: 데이터 통신의 핵심 경로버스(bus)는 메모리와 CPU, 그리고 다른 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로입니다. 메모리에서는 주로 메모리 버스라 불리며, CPU의 메모리 컨트롤러와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버스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역할이 다릅니다.주소 버스: CPU가 메모리의 어떤..
2025. 5. 11.
메모리 종류별 차이점 (DDR3, DDR4, DDR5, ECC)
컴퓨터의 속도와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메모리(RAM)는 다양한 세대와 기술 사양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특히 DDR3, DDR4, DDR5는 세대별로 속도, 전력, 구조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ECC 메모리는 서버 및 안정성이 중요한 환경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각 메모리 종류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와 함께 어떤 용도에 어떤 메모리가 적합한지를 자세히 설명합니다.DDR3와 DDR4: 과거에서 현재로의 진화DDR3는 2007년부터 본격 보급되기 시작한 메모리 규격으로, 클럭 속도는 보통 800 MHz에서 2133 MHz까지 지원되며, 전압은 1.5V 또는 저전력 모델의 경우 1.35V입니다. 당시 기준에서는 상당히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했으나, 오늘날 기준에서는 대역폭이 낮고..
2025. 5. 11.